본문 바로가기

교육

[환율제도] 변동환율제도와 고정환율제도

728x90

* 환율제도
  

1) 변동환율제도

변동환율제도란 환율이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현재 우리나라가 채택하고 있는 환율제도가 바로 변동환율제도입니다.

달러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서 환율이 1000원에서 1,400원으로 뛰고,

반대로 달러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 환율이 1,400원에서 1,000원으로 변하는 제도가 바로 변동환율제도입니다.


환율이 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라 급격하게 변하면 머리가 아픈 것은 사실입니다.

1달러에 1,400원일 때 1,000원짜리 상품을 1달러에 수출하면 400원이 이익입니다.

그런데 막상 대금결제를 받을 때에 환율이 변해서 1달러에 1,200원이 되면 수출상은 가만히 앉아서

200원을 손해 보아야 합니다. 이처럼 환율의 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환차손이라고 하고,

환율의 변동으로 인한 이익을 환차익이라고 합니다.

 

환율이 변동하면 환차손을 보아야 할 뿐만 아니라 원자재를 많이 수입하는 업체는 연초에 
세웠던 예산을 다시 세워야 하는 아픔이 있습니다. 이 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많은 나라들이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는 이유는 변동환율제도가 국제수지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환율이 1달러에 1,200원에서 1,400원으로 올랐다고 합시다.

그러면 우리나라 제품의 수출은 늘어나고 달러는 늘어나게 됩니다.

수출이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수출을 많이 해서 달러가 들어오면 기업은 임금을 주기 위해서라도 원화로 바꾸어야 하는데

지나치게 많은 달러가 들어오면 물가가 폭등하고, 경제에 거품이 생기는 불상사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출을 줄여야 하는데 변동환율제도 하에서는 굳이 인위적인

수단을 강구하지 않아도 수출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달러가 많이 들어오게 되니까 환율이 1달러에 1,400원에서 1,200원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미국 기업의 입장에서는 옛날에는 1달러를 주고 1,400원짜리 물건을 살  수

있었는데 이제는 1,200원짜리 물건밖에 살 수 없게 되니 구매처를 다른 나라로 돌리게 되므로

당연히 수출은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또 한국기업의 입장에서도 옛날에는 1달러짜리를 
팔면 1,400원을 벌었는데 이제는 1,200원밖에 벌 수 없으니 당연히 수출에 신경을 끊게 되어 
수출은 줄어들게 됩니다.
  

2) 고정환율제도

고정환율제도란 1달러에 800원이라고 못을 박아 놓으면 영원히 환율이 800원
에서 변하지 않는 환율제도를 이야기합니다.

얼른 생각하면 겁나게 편하고, 환율 계산하느라 머리가 안 아프고 좋을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환율이 1달러에 1,200원으로 묶여 있고, 우리나라 제
품이 너무 좋아서 수출이 겁나게 늘어나 달러를 엄청 벌어들이고 있다고 합시다.

달러가 흘러 들어오는 만큼 원화가 풀리고, 원화가 풀리는 만큼 물가는 뛰게 됩니다

물가를 낮추고, 외국의 통상압력을 피하기 위해서는 수출을 줄여야 하는데

환율은 여전히 1달러에 1,200원이기 때문에 수출이 줄어들지 않습니다.

환율을 낮추면 수출이 좀 줄어들겠지만  환율이 묶여 있기 때문에 어쩔 수가 없습니다.
고정환율제도의 최대 단점은 이처럼 국제수지를 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없다는 데 있습니다.

 

* 고정환율제도를 채택한 나라

  - 홍콩(1983 ~ )
  - 아르헨티나(1991 ~ 2001)
  - 에스토니아(1992 ~ 2010)
  - 리투아니아(1994 ~ 2014)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1997 ~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