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백신에 대한 부작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백신 종류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얀센 백신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
* 접종 횟수 : 2회
* 백신 효능 (예방 효과) : 67%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부작용 사례
임상실험 참가자
- 18세 이상(30,351명)
이상 반응
- 접종 부위 통증: 60%
- 두통, 피로감: 50
- 근육통, 권태감: 40%
- 발열, 오한: 30%
- 관절통, 오심: 20%
> 두통, 피로감, 통증, 근육통, 오한, 발열, 권태감 등의 부작용 발견.
> 1차 접종보다 2차 접종 시에는 더 경증이고, 발생 빈도가 낮음.
> 임상시험 중 횡단 척수염 환자가 발생해 임상이 중단된 사실 있음.
: 횡단 척수염은 척수 단면에 바이러스, 백신 등이 원인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질병.
신경근 통증과 함께 하체 감각에 이상이 생기고, 심하면 하체마비로 이어지는 심각한 질병.
>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사망 사례 있음 (기저 질환 때문에 발생 발표)
> 알레르기 반응 발생 이력이 있는 분은 필히 상담 필요
화이자 백신 접종
* 접종 횟수 : 2회
* 백신 효능 (예방 효과) : 95%
화이자 백신 부작용 사례
임상실험 참가자
- 16세 이상(43,448명)
이상 반응
- 접종 부위 통증: 84.1%
- 피로감: 62.9%
- 근육통: 38.3%
- 오한: 31.9%
- 관절통: 23.6%
- 발열: 14.2%
- 접종 부위 부기: 10.5%
- 접종 부위 발적: 9.5%
- 오심: 1.1%
- 권태감: 0.5%
- 임파선염: 0.3%
> 화이자 백신을 맞은 분들 중 27% 가 주사를 맞은 접종 부위에 통증을 느끼거나,
부종, 발적 등의 경증 부작용 호소.
> 화이자 백신 임상 실험 결과에서 접종한 사람 중 10~15% 정도는 부작용 경험
> 4.6%의 사람들에게서 안면 신경마비, 림프절 부종 등 심각한 부작용
> 2020.1.1일 포르투갈 연구소에서 근무했던 간호사가 백신 접종 후 사망 사례 있음
> 화이자 백신 임상시험 과정에서 43,000명 참가자 중 6명이 사망.
이들 중 2명은 실제 백신을 접종했으며 4명은 위약 군에 속했다고 발표.
이에 대해 화이자는 백신과 사망 사이의 인과성은 없다고 발표.
> 이외 알레르기가 없던 사람이 접종 10분 후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겪음.
미국의 질병관리 본부 발표를 보면, 백신 접종 백만 명당 2~5명 정도가 부작용을 호소
과민증 부작용의 경우 대부분 접종 한지 30분 이내에 동반된다고 합니다.
얀센 백신 접종
* 접종 횟수 : 1회
* 백신 효능 (예방 효과) : 66.9%~72%
얀센 백신 부작용 사례
> 얀센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24시간 정도 두통, 피로감, 근육통,
발열, 어지러움, 오심 증상
> 백신을 접종한 팔에서는 통증과 붓기와 발적이 올라올 수 있고, 몸에서는 피로감,
두통, 근육통, 오한, 발열, 오심 등의 증상 발생.
> 간혹 빠른 호흡, 저혈압, 무감각, 따끔거림 등과 같이 불안을 동반하는 실신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흔치 않은 일이며 예상할 수 없는 심각한 부작용도 아니라고 함.
> 매우 드물게 희귀 혈전증 보고 사례가 있음 (AZ 백신에도 있는 부작용)
> 미국의 경우 50세 미만 여성에게 희귀 혈전증 가능성 문구 달았음
> 현재 우리나라는 30세 이상 접종 권고
> 부작용 조기 발견 시 치료 가능
> 미국에서 투여된 800만 회의 얀센 백신 중 실신에 가까운 케이스가 653건 보고
> 10만 케이스 중 약 8건의 실신 발생률, 실신은 예방 접종 후 15분간의 모니터링 시간 내 발생
모더나 백신 접종
* 접종 횟수 : 2회
* 백신 효능 (예방 효과) : 94%
모더나 백신 부작용 사례
임상실험 참가자
- 18세 이상(30,351명)
이상 반응
- 접종 부위 통증: 92%
- 피로감: 70%
- 두통: 64.7%
- 근육통: 61.5%
- 관절통: 46.4%
- 오한: 45.4%
- 오심/구토: 23%
- 겨드랑이 부기: 19.8%
- 발열: 15.5%
- 접종 부위 부종: 14.7%
- 접종 부위 홍반: 10%
> 2021년 3월 미국 30대 여성 사망
: 2차 접종 후 나흘 만에 간부전으로 사망.
기저질환은 없었으며, 아나필락시스 증상 없음.
백신과 사망 사이의 인과성 없다고 발표.
> 혈전 부작용 (거의 없음 )
: 8470만 건 접종 중 3건 보고, 모두 혈소판 감소증은 없었음.
현재 계속 혈전 및 혈소판 감소증에 대해서 조사 중.
다만, mRNA 방식 백신인 화이자, 모더나는 혈전 이슈는 거의 없는 편.
> 접종 후유증
: mRNA 방식 백신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부분이 큰 장점.
다만, 일반 백신과 다르게 백신 접종 후 4~11일 접종 부위 통증 및
피부 병변 등이 발생하는 후유증이 보고 됨.
mRNA 방식의 백신은 부작용으로 안전한 편.
'생활 꿀팁, 필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연봉 실수령액 표 (0) | 2023.05.03 |
---|---|
근로자녀장려금 조건 및 신청 방법 (0) | 2023.03.02 |
[전국민 재난지원금, 국민지원금] 총정리! 9월 6일부터~~ 지급 (0) | 2021.09.01 |
[코로나 증상, 코로나 백신 부작용] 코로나 증상 순서, 코로나 감기와 차이점, 코로나 백신 맞기전 확인할 것 (0) | 2021.06.10 |